[스크랩] 어의구전목록(御義口傳目錄)

2010. 1. 11. 10:56佛法 .SGI

어의구전목록(御義口傳目錄)

어서(御書) p.701

南無妙法蓮華經

 

권상(卷上)

 

제일(第一) 서품(序品) 칠개(七箇)의 대사(大事)

 

제일(第一) 여시아문지사(如是我聞之事)

제이(第二) 아야교진여지사(阿若憍陳如之事)

제삼(第三) 아사세왕지사(阿闍世王之事)

제사(第四) 불소호념지사(佛所護念之事)

제오(第五) 하지아비지옥지사(下至阿鼻地獄之事)

제육(第六) 도사하고지사(道師何故之事)

제칠(第七) 천고자연명지사(天鼓自然鳴之事)

 

제이(第二) 방편품(方便品) 팔개(八箇)의 대사(大事)

 

제일(第一) 방편품지사(方便品之事)

제이(第二) 제불지혜심심무량기지혜문지사(諸佛智慧甚深無量其智慧門之事)

제삼(第三) 유이일대사인연지사(唯以一大事因緣之事)

제사(第四) 오탁지사(五濁之事)

제오(第五) 비구비구니유회증상만우바새아만우바이불신지사

(比丘比丘尼有懷增上慢優婆塞我慢優婆夷不信之事)

제육(第六) 여아등무이여아석소원지사(如我等無二如我昔所願之事)

제칠(第七) 어제보살중정직사방편지사(於諸菩薩中正直捨方便之事)

제팔(第八) 당래세악인문불설일승미혹불신수파법타악도지사

(當來世惡人聞佛說一乘迷惑不信受破法墮惡道之事)

 

제삼(第三) 비유품(譬喩品) 구개(九箇)의 대사(大事)

 

제일(第一) 비유품지사(譬喩品之事)

제이(第二) 즉기합장지사(卽起合掌之事)

제삼(第三) 신의태연쾌득안은지사(身意泰然快得安穩之事)

제사(第四) 득불법분지사(得佛法分之事)

제오(第五) 이자회전지사(而自廻轉之事)

제육(第六) 일시구작지사(一時俱作之事)

제칠(第七) 이비유득해지사(以譬喩得解之事)

제팔(第八) 유유일문지사(唯有一門之事)

제구(第九) 금차삼계등지사(今此三界等之事)

 

제사(第四) 신해품(信解品) 육개(六箇)의 대사(大事)

 

제일(第一) 신해품지사(信解品之事)

제이(第二) 사부도서지사(捨父逃逝之事)

제삼(第三) 가부궁곤지사(加復窮困之事)

제사(第四) 심회회한지사(心懷悔恨之事)

제오(第五) 무상보취불구자득지사(無上寶聚不求自得之事)

제육(第六) 세존대은지사(世尊大恩之事)

 

제오(第五) 약초유품(藥草喩品) 오개(五箇)의 대사(大事)

 

제일(第一) 약초유품지사(藥草喩品之事)

제이(第二) 차품술성단지사(此品述成段之事)

제삼(第三) 수일지소생일우소윤등지사(雖一地所生一雨所潤等之事)

제사(第四) 파유법왕출현세간지사(破有法王出現世間之事)

제오(第五) 아관일체・보개평등・무유피차・애증지심・아무탐착・역무한애지사

(我觀一切・普皆平等・無有彼此・愛憎之心・我無貪著・亦無限礙之事)

 

제육(第六) 수기품(授記品) 사개(四箇)의 대사(大事)

 

제일(第一) 수기지사(授記之事)

제이(第二) 가섭광명지사(迦葉光明之事)

제삼(第三) 사시신이지사(捨是身已之事)

제사(第四) 숙세인연오금당설지사(宿世因緣吾今當說之事)

 

제칠(第七) 화성유품(化城喩品) 칠개(箇)의 대사(大事)

 

일(第一) 화성지사(化城之事)

제이(第二) 대통지승불지사(大通智勝佛之事)

제삼(第三) 제모체읍지사(諸母涕泣之事)

제사(第四) 기조전륜성왕지사(其祖轉輪聖王之事)

제오(第五) 십육왕자지사(十六王子之事)

제육(第六) 즉멸화성지사(卽滅化城之事)

제칠(第七) 개공지보처지사(皆共至寶處之事)

 

제팔(第八)오백품(五百品)삼개(三箇)의 대사(大事)

 

제일(第一) 의리지사(衣裏之事)

제이(第二) 취주이와지사(醉酒而臥之事)

제삼(第三) 신심편환희지사(身心遍歡喜之事)

 

제구(第九) 인기품(人記品) 이개(二箇)의 대사(大事)

 

제일(第一) 학무학지사(學無學之事)

제이(第二) 산해혜자재통왕불지사(山海慧自在通王佛之事)

 

제십(第十) 법사품(法師品) 십육개(十六箇)의 대사(大事)

 

제일(第一) 법사지사(法師之事)

제이(第二) 성취대원민중생고생어악세광연차경지사

(成就大願愍衆生故生於惡世廣演此經之事)

제삼(第三) 여래소견행여래사지사(如來所遣行如來事之事)

제사(第四) 여여래공숙지사(與如來共宿之事)

제오(第五) 시법화경장심고유원무인능도지사(是法華經藏深固幽遠無人能到之事)

제육(第六) 문법신수수순불역지사(聞法信受隨順不逆之事)

제칠(第七) 의좌실지사(衣座室之事)

제팔(第八) 욕사제해태응당청차경지사(欲捨諸懈怠應當聽此經之事)

제구(第九) 불문법화경거불지심원지사(不問法華經去佛智甚遠之事)

제십(第十) 약설차경시유인악구매가도장와석염불고응인지사

(若說此經時有人惡口罵加刀杖瓦石念佛故應忍之事)

제십일(第十一) 급청신사녀공양어법사지사(及淸信士女供養於法師之事)

제십이(第十二) 약인욕가악도장급와석즉견변화인위지작위호지사

(若人欲加惡刀杖及瓦石則遣變化人爲之作衛護之事)

제십삼(第十三) 약친근법사속득보살도지사(若親近法師速得菩薩道之事)

제십사(第十四) 수순시사학지사(隨順是師學之事)

제십오(第十五) 사(師)와 학(學) 지사(之事)

제십육(第十六) 득견항사불지사(得見恒沙佛之事)

 

제십일(第十一) 보탑품(寶塔品) 이십개(二十箇)의 대사(大事)

 

제일(第一) 보탑지사(寶塔之事)

제이(第二) 유칠보지사(有七寶之事)

제삼(第三) 사면개출지사(四面皆出之事)

제사(第四) 출대음성지사(出大音聲之事)

제오(第五) 견대보탑주재공중지사(見大寶塔住在空中之事)

제육(第六) 국명보정피중유불호왈다보지사(國名寶淨彼中有佛號曰多寶之事)

제칠(第七)

어시방국토(於十方國土) 유설법화경(有說法華經) 처아지탑묘(處我之塔廟) 위청시경고용현기전(爲聽是經故涌現其前) 위작증명(爲作證明) 찬언선재지사(讚言善哉之事)

제팔(第八) 남서북방사유상하지사(南西北方四惟上下之事)

제구(第九) 각재보화만국지사(各齎寶華滿掬之事)

제십(第十) 여각관약개대성문지사(如却關鑰開大城門之事)

제십일(第十一) 섭제대중개재허공지사(攝諸大衆皆在虛空之事)

제십이(第十二) 비여대풍취소수지지사(譬如大風吹小樹枝之事)

제십삼(第十三) 약유능지즉지불신지사(若有能持卽持佛身之事)

제십사(第十四) 차경난지지사(此經難持之事)

제십오(第十五) 아즉환희제불역연지사(我則歡喜諸佛亦然之事)

제십육(第十六) 독지차경지사(讀持此經之事)

제십칠(第十七) 시진불자지사(是眞佛子之事)

제십팔(第十八) 시제천인세간지안지사(是諸天人世間之眼之事)

제십구(第十九) 능수유설지사(能須臾說之事)

제이십(第二十) 차경난지지사(此經難持之事)

 

제십이(第十二) 제바품(提婆品) 팔개(八箇)의 대사(大事)

 

제일(第一) 제바달다지사(提婆達多之事)

제이(第二) 약불위아당위선설지사(若不違我當爲宣說之事)

제삼(第三) 채과급수습신설식지사(採菓汲水拾薪設食之事)

제사(第四) 정존묘법고신심무해권지사(情存妙法故身心無懈倦之事)

제오(第五) 아어해중유상선설지사(我於海中唯常宣說之事)

제육(第六) 연시팔세지사(年始八歲之事)

제칠(第七) 언론미글지사(言論未訖之事)

제팔(第八) 유일보주지사(有一寶珠之事)

 

제십삼(第十三) 권지품(勸持品) 십삼개(十三箇)의 대사(大事)

 

제일(第一) 권지지사(勸持之事)

제이(第二) 불석신명지사(不惜身命之事)

제삼(第三) 심불실고지사(心不實故之事)

제사(第四) 경순불의지사(敬順佛意之事)

제오(第五) 작사자후지사(作師子吼之事)

제육(第六) 여법수행지사(如法修行之事)

제칠(第七) 유제무지인지사(有諸無智人之事)

제팔(第八) 악세중비구지사(惡世中比丘之事)

제구(第九) 혹유아련야지사(或有阿練若之事)

제십(第十) 자작차경전지사(自作此經典之事)

제십일(第十一) 위사소경언(爲斯所輕言) 여등개시불지사(汝等皆是佛之事)

제십이(第十二) 악귀입기신지사(惡鬼入其身之事)

제십삼(第十三) 단석무상도지사(但惜無上道之事)

 

제십사(第十四) 안락행품(安樂行品) 오개(五箇)의 대사(大事)

 

제일(第一) 안락행품지사(安樂行品之事)

제이(第二) 일체법공지사(一切法空之事)

제삼(第三) 유소난문불이소승법답등지사(有所難問不以小乘法答等之事)

제사(第四) 무유포외가도장등지사(無有怖畏加刀杖等之事)

제오(第五) 유인래욕난문자제천주야등지사(有人來欲難問者諸天晝夜等之事)

 

제십오(第十五) 용출품(涌出品) 일개(一箇)의 대사(大事)

 

제일(第一) 창도지사지사(唱導之師之事)

 

권하(卷下)

 

제십육(第十六) 수량품(壽量品)이십칠개(二十七箇)의 대사(大事)

 

제일(第一) 南無妙法蓮華經 여래수량품(如來壽量品) 제십육지사(第十六之事)

제이(第二) 여래비밀신통지력지사(如來秘密神通之力之事)

제삼(第三) 아실성불이래(我實成佛已來) 무량무변등지사(無量無邊等之事)

제사(第四)

여래여실지견(如來如實知見) 삼계지상(三界之相) 무유생사지사(無有生死之事)

제오 약불구주어세 박덕지인 부종선근 빈궁하천 탐착오욕 입어억상 망견망중지사

(第五 若佛久住於世 薄德之人 不種善根 貧窮下賤 貪著五欲 入於憶想 妄見網中之事)

제육(第六) 음타독약(飮他毒藥) 약발민란(藥發悶亂) 완전우지지사(宛轉于地之事)

제칠(第七) 혹실본심(或失本心) 혹불실자지사(或不失者之事)

제팔(第八) 도사화합여자령복지사(擣簁和合與子令服之事)

제구(第九) 독기심입실본심고지사(毒氣深入失本心故之事)

제십(第十) 시호양약 금류재차 여가취복 물우불차지사

(是好良藥 今留在此 汝可取服 勿憂不差之事)

제십일(第十一) 자아득불래지사(自我得佛來之事)

제십이(第十二) 위도중생고(爲度衆生故) 방편현열반지사(方便現涅槃之事)

제십삼(第十三) 상주차설법지사(常住此說法之事)

제십사(第十四) 시아급중승(時我及衆僧) 구출영추산지사(俱出靈鷲山之事)

제십오(第十五) 중생견겁진(衆生見劫盡)○이중견소진지사(而衆見燒盡之事)

제십육(第十六) 아역위세부지사(我亦爲世父之事)

제십칠(第十七) 방일착오욕(放逸著五欲) 타어악도중지사(墮於惡道中之事)

제십팔(第十八) 행도불행도지사(行道不行道之事)

제십구(第十九) 매자작시념지사(每自作是念之事)

제이십(第二十) 득입무상도등지사(得入無上道等之事)

제이십일(第二十一) 자아게지사(自我偈之事)

제이십이(第二十二) 자아게시종지사(自我偈始終之事)

제이십삼(第二十三) 구원지사(久遠之事)

제이십사(第二十四)

이 수량품(壽量品)의 소화 (所化)의 국토(國土)와 수행지사(修行之事)

제이십오(第二十五) 건립어본존등지사(建立御本尊等之事)

제이십육(第二十六) 수량품(壽量品)의 대고중지사(對告衆之事)

제이십칠(第二十七) 무작삼신지사(無作三身之事) 종자존형삼마야(種子尊形三摩耶)

 

제십칠(第十七)분별공덕품(分別功德品) 삼개(三箇)의 대사(大事)

 

제일(第一)기유중생 문불수명 장원여시 내지능생 일념신해 소득공덕 무유한량지사

(其有衆生 聞佛壽命 長遠如是 乃至能生 一念信解 所得功德 無有限量之事)

제이(第二)

시즉능신수(是則能信受) 여시제인등(如是諸人等) 정수차경전지사(頂受此經全之事)

제삼(第三) 불자주차지즉시불수용지사(佛子住此地則是佛受用之事)

 

제십팔(第十八) 수희품(隨喜品) 이개(二箇)의 대사(大事)

 

제일(第一) 妙法蓮華經 수희공덕지사(隨喜功德之事)

제이(第二)

구기무취예(口氣無穢) 우발화지향(優鉢華之香) 상종기구출지사(常從其口出之事)

 

제십구(第十九)법사공덕품(法師功德品) 사개(四箇)의 대사(大事)

 

제일(第一) 법사공덕지사(法師功德之事)

제이(第二) 육근청정지사(六根淸淨之事)

제삼(第三) 우여정명경지사(又如淨明鏡之事)

제사(第四) 시인지차경안주희유지지사(是人持此經安住希有地之事)

 

제이십(第二十) 불경품(不輕品) 삼십개(三十箇)의 대사(大事)

 

제일(第一) 상불경지사(常不輕之事)

제이(第二) 득대세보살지사(得大勢菩薩之事)

제삼(第三) 위음왕지사(威音王之事)

제사(第四) 범유소견지사(凡有所見之事)

제오(第五) 아심경여등 불감경만 소이자하 여등개행보살도 당득작불지사

(我深敬汝等 不敢輕慢 所以者何 汝等皆行菩薩道 當得作佛之事)

제육(第六) 단행예배지사(但行禮拜之事)

제칠(第七) 내지원견지사(乃至遠見之事)

제팔(第八) 심부정자지사(心不淨者之事)

제구(第九) 언시무지비구지사(言是無智比丘之事)

제십(第十) 문기소설개신복수종지사(聞其所說皆信伏隨從之事)

제십일(第十一) 어사중중설법심무소외지사(於四衆中說法心無所畏之事)

제십이(第十二) 상불경보살기이인호즉아신시지사(常不輕菩薩豈異人乎則我身是之事)

제십삼(第十三) 상불치불불문법불견승지사(常不値佛不聞法不見僧之事)

제십사(第十四) 필시죄이부우상불경보살지사(畢是罪已復遇常不輕菩薩之事)

제십오(第十五) 어여래멸후등지사(於如來滅後等之事)

제십육(第十六) 차품(此品)의 시(時)의 불경보살(不輕菩薩)의 체지사(體之事)

제십칠(第十七) 불경보살(不輕菩薩)의 예배주처지사(禮拜住處之事)

제십팔(第十八) 개시오입(開示悟入) 예배주처지사(禮拜住處之事)

제십구(第十九) 매자작시념(每自作是念)의 문(文) 예배주처지사(禮拜住處之事)

제이십(第二十) 아본행보살도(我本行菩薩道)의 문(文) 예배주처지사(禮拜住處之事)

제이십일(第二十一) 생로병사(生老病死) 예배주처지사(禮拜住處之事)

제이십이(第二十二) 법성예배주처지사(法性禮拜住處之事)

제이십삼(第二十三) 무명예배주처지사(無明禮拜住處之事)

제이십사(第二十四) 연화(蓮華)의 이자(二字) 예배주처지사(禮拜住處之事)

제이십오(第二十五) 실보토(實報土) 예배주처지사(禮拜住處之事)

제이십육(第二十六) 자비(慈悲)의 이자(二字) 예배주처지사(禮拜住處之事)

제이십칠(第二十七) 예배주처(禮拜住處) 분진즉지사(分眞卽之事)

제이십팔(第二十八) 구경즉(究竟卽)의 예배주처지사(禮拜住處之事)

제이십구(第二十九) 법계예배주처지사(法界禮拜住處之事)

제삼십(第三十) 예배주처(禮拜住處) 인욕지지사(忍辱之事)

 

제이십일(第二十一) 신력품(神力品) 팔개(八箇)의 대사(大事)

 

제일(第一) 妙法蓮華經 여래신력지사(如來神力之事)

제이(第二) 출광장설지사(出廣長舌之事)

제삼(第三) 시방세계(十方世界) 중보수하(衆寶樹下) 사자좌상지사(師子座上之事)

제사(第四) 만백천세지사(滿百千歲之事)

제오(第五)

지개육종진동기중중생(地皆六種震動其中衆生)○중보수하지사(衆寶樹下之事)

제육(第六) 사바시중(娑婆是中) 유불명(有佛名) 석가모니불지사(釋迦牟尼佛之事)

제칠(第七) 사인행세간(斯人行世間) 능멸중생암지사(能滅衆生闇之事)

제팔(第八)

필경주일승(畢竟住一乘)○시인어불도(是人於佛道) 결정무유의지사(決定無有疑之事)

 

제이십이(第二十二) 촉루품(囑累品) 삼개(三箇)의 대사(大事)

 

제일(第一) 종법좌기지사(從法座起之事)

제이(第二) 여래시(如來是) 일체중생지(一切衆生之) 대시주지사(大施主之事)

제삼(第三) 여세존(如世尊) 칙당구봉행지사(勅當具奉行之事)

 

제이십삼(第二十三) 약왕품(藥王品) 육개(六箇)의 대사(大事)

 

제일(第一)

불여수지(不如受持) 차법화경(此法華經) 내지일사구게지사(乃至一四句偈之事)

제이(第二) 십유지사(十喩之事)

제삼(第三)

이일체고(離一切苦) 일체병통(一切病痛) 능해일체(能解一切) 생사지박지사(生死之縛之事)

제사(第四) 화불능소(火不能燒) 수불능표지사(水不能漂之事)

제오(第五) 제여원적(諸餘怨敵) 개실최멸지사(皆悉摧滅之事)

제육(第六) 약인유병 득문시경 병즉소멸 불로불사지사

(若人有病 得聞是經 病卽消滅 不老不死之事)

 

제이십사(第二十四) 묘음품(妙音品) 삼개(三箇)의 대사(大事)

 

제일(第一) 묘음보살지사(妙音菩薩之事)

제이(第二) 육계백호지사(肉白毫之事)

제삼(第三) 팔만사천칠보발지사(八萬四千七寶鉢之事)

 

제이십오(第二十五) 보문품(普門品) 오개(五箇)의 대사(大事)

 

제일(第一) 무진의보살지사(無盡意菩薩之事)

제이(第二) 관음묘지사(觀音妙之事)

제삼(第三) 염념물생의지사(念念勿生疑之事)

제사(第四) 이구양원지사(二求兩願之事)

제오(第五) 삼십삼신이익지사(三十三身利益之事)

 

제이십육(第二十六)다라니품(陀羅尼品) 육개(六箇)의 대사(大事)

 

제일(第一) 다라니지사(陀羅尼之事)

제이(第二) 안이만이지사(安爾曼爾之事)

제삼(第三) 귀자모신지사(鬼子母神之事)

제사(第四) 수지법화명자복불가량지사(受持法華名者福不可量之事)

제오(第五) 고제녀지사(皐諦女之事)

제육(第六) 오번신주지사(五番神呪之事)

 

제이십칠(第二十七) 엄왕품(嚴王品) 삼개(三箇)의 대사(大事)

 

제일(第一) 묘장엄왕지사(妙莊嚴王之事)

제이(第二) 부목공지사(浮木孔之事)

제삼(第三) 당품사견즉정지사(當品邪見卽正之事)

 

제이십팔(第二十八) 보현품(普賢品) 육개(六箇)의 대사(大事)

 

제일(第一) 보현보살지사(普賢菩薩之事)

제이(第二) 약법화경행염부제지사(若法華經行閻浮提之事)

제삼(第三) 팔만사천천녀지사(八萬四千天女之事)

제사(第四) 시인명종위천불수수지사(是人命終爲千佛授手之事)

제오(第五) 염부제내(閻浮提內) 광령유포지사(廣令流布之事)

제육(第六) 차인불구당예도량지사(此人不久當詣道場之事)

 

무량의경(無量義經) 육개(六箇)의 대사(大事)

 

제일(第一) 무량의경(無量義經) 덕행품(德行品) 제일지사(第一之事)

제이(第二) 양(量)의 자지사(字之事)

제삼(第三) 의(義)의 자지사(字之事)

제사(第四) 처(處)의 일자지사(一字之事)

제오(第五) 무량의처지사(無量義處之事)

제육(第六) 무량의처지사(無量義處之事)

 

보현경(普賢經) 오개(五箇)의 대사(大事)

 

제일(第一) 보현경지사(普賢經之事)

제이(第二) 부단번뇌(不斷煩惱) 불리오욕지사(不離五欲之事)

제삼(第三) 욕념지사 염불 염법 염승 염계 염시 염천

(欲念之事 念佛 念法 念僧 念戒 念施 念天)

제사(第四)

일체업장해 개종망상생 약욕참회자 단좌사실상 중죄여상로 혜일능소제지사

(一切業障海 皆從妄想生 若欲懺悔者 端坐思實相 衆罪如霜露 慧日能消除之事)

제오(第五) 정법치국불사왕인민지사(正法治國不邪枉人民之事)

 

이십팔품(二十八品)에 일문(一文)씩의 대사(大事)

이십팔품(二十八品) 悉南無妙法蓮華經之事

출처 : 한국SGI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
글쓴이 : 평회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