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지도말씀

2019. 10. 29. 20:15佛法 .SGI



"절복이란, 남을 절복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자신의 무명, 번뇌를 절복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고민에 지지 않는 강한 자신이 됩니다. 자신의 경애변혁도 숙명전환도 단호히 성취할 수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절복의 본의(本義)는 자신의 '겁을 내는 마음이나 게으름, 미혹된 마음을 절복하는 것'이고 그것이 자타 함께 '무명을 절복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겠지요."

《11월 법련 中》



생명은 현실적으로 모든 사람에게 갖추어져 있습니다. 그러므로 모든 사람이 실감할 수 있는 구체성이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도 도다 선생님의 오달은 불법을 모든 사람의 것으로 만들었습니다.

또한 '생명'에는 다양성이 있습니다. 풍요로움과 활달함이 있습니다. 그러면서도 법칙적이고, 일정한 리듬이 있습니다. 이 '다양성의 조화'를 가르친 것이 일념삼천(一念三千)입니다. 그 일념삼천을 체득한 존재가 부처입니다.

더욱이 '생명'에는 개방성이 있습니다. 외계(外界)와 교류하고, 물질이나 에너지 그리고 정보를 끊임없이 교환하는 열린 존재입니다. 그러면서 자율성을 갖는 것이 생명입니다. 우주 전체로 열린 개방성과 자유 속의 조화, 이것이 생명의 특징입니다.

부처의 광대무변한 경애란, 생명의 이 자유* 개방*조화를 최대한으로 실현한 경애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묘(妙)의 삼의(三義)에는 '열다'의 의(義), '원만(圓滿)'의 의, '소생(蘇生)'의 의가 있는데, 이것이야말로 '생명'의 특질입니다. 그리고 바로 '부처'의 특질입니다.


- 법화경의 지혜 <상권> 서론



도다 선생님은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광선유포하는 투사는 인간의 대왕이다. 이런 기개와 명예를 계속 지녀야 한다.”
창가학회는 묘법을 192개국에 광선유포했습니다.
학회는 대성인의 대자대비에 직결해 인류구제를 큰 목적으로 전진하는 불의불칙의 불가사의한 단체입니다. 지용보살의 교단이자 부처의 진열입니다. 그러므로 도다 선생님은 이렇게도 외치셨습니다.
“자기를 비하하는 일이 있어서는 절대로 안 된다. 과분하게도 어본불과 똑같은 생명을 지닌 자신을 자랑스럽게 여겨라. 고귀한 마음으로 인생을 끝까지 승리해야 한다.”
부처는 만인이 머리를 들고 가슴을 펴고 살 수 있는 길을 열었습니다.
부처와 동등한 자신을 비하하는 일은 부처를 비하하는 일이 되고 맙니다.
대성인은 “구원실성(久遠實成)의 석존과 개성불도의 법화경과 우리중생의 셋은 전혀 차별이 없다고 깨달아서 묘호렌게쿄라고 봉창하는 바를 생사일대사(生死一大事)의 혈맥(血脈)이라고 하느니라.”(어서 1337쪽)하고 가르쳐주셨습니다.
이 제목을 부르고 넓히는 자기 생명이 얼마나 가장 존귀한가.
그런 대환희의 자각으로 자기 사명의 인생을 반드시 강하게 끝까지 살아야 합니다.
약간의 사소한 일이 있을지라도 “아직 단념하지 않노라.”(어서 1056쪽)는 성훈대로 더욱 용맹정진 해야 합니다.

 

어서와 사제 (제27회 생명승리의 왕도)


'佛法 .SGI'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의학도 포기한 위암 창제로 극복   (0) 2019.11.14
선생님 지도말씀  (0) 2019.11.10
선생님 지도 말씀  (0) 2019.10.22
근행 창제의 의의와 기원  (0) 2019.10.01
제목과 광선유포  (0) 2019.09.23